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4

클라우드 비용 통제하는 대시보드(요금 알림, 예산, 모니터링) 클라우드를 사용하는 많은 개발자와 기업들은 ‘요금 폭탄’이라는 불편한 경험을 한 번쯤 겪습니다. 생각보다 빠르게 늘어나는 사용량 그에 따라 비용도 예기치 않게 상승하죠. 하지만 이러한 문제는 미리 감지하고 통제할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 비용을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예산을 설정하며, 알림까지 받을 수 있는 대시보드 구축한다면 클라우드 비용 절감에 도움이 될 것 입니다. 요금 폭탄을 막는 첫 단계, 알림 시스템 구축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다 보면 ‘이 정도면 무료겠지’ 하는 생각이 큰 요금으로 돌아오기 쉽습니다. 특히 AWS, GCP, Azure 같은 플랫폼에서는 수많은 리소스가 동작하고 있어, 각 항목별 요금 증가를 놓치기 쉽습니다. 이때 반드시 필요한 것이 바로 요금 알림 시스템입니다. AWS에서는 B.. 2025. 10. 29.
국내 클라우드 누가 강자?(네이버,KT,AWS) 요즘 클라우드 얘기가 나오면 대부분 AWS가 대세라고 합니다. 하지만 막상 한국 회사들이 실제로 어떤 클라우드를 쓰는지 알아보니 생각보다 국산 클라우드 비중이 꽤 높았습니다. 특히 작년 즉, 2024년부터 네이버 클라우드와 KT 클라우드가 무섭게 치고 올라오고 있습니다. 클라우드는 단순한 기술 인프라를 넘어 디지털 전환의 핵심 전략이 되었습니다. AWS 같은 글로벌 서비스 외에도 국내기업이 어떤 클라우드를 선택하여 성장세가 두드러지게 보이는지 한번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글로벌 vs 국내 클라우드 시장 구조현재 국내 클라우드 시장은 크게 두 축으로 나뉩니다.첫째는 AWS, Microsoft Azure, Google Cloud Platform(GCP)와 같은 글로벌 클라우드 3사, 둘째는 Naver .. 2025. 10. 29.
클라우드 프리티어 총정리 최신(AWS,GCP,Azure)/ 무료 클라우드 계정 만들기 클라우드 서비스를 처음 접하는 개발자나 학생, 예산이 빠듯한 스타트업이라면 "프리티어(Free Tier)"를 활용한 무료 계정이 가장 좋은 출발점입니다. AWS, GCP, Azure는 모두 신규 사용자 또는 특정 조건에 해당하는 사용자에게 무료 클라우드 리소스를 제공합니다. 호스팅 비용 걱정 없이 내 아이디어를 바로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으로 다가옵니다. 2025년 기준으로 각 플랫폼의 프리티어 제공 내용과 한도를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AWS 프리티어: 12개월 무료 + 상시 무료AWS(Amazon Web Services)는 가장 오랜 기간 무료 계정 정책을 운영해온 대표 클라우드입니다. 개인적으로 AWS가 제공하는 서비스 범위가 가장 넓다고 느꼈어요. 신규 사용자라면 다음과 같은 .. 2025. 10. 29.
클라우드 비용 아끼는 전략 3가지(무료 크레딧 포함) 클라우드를 사용하는 개발자라면 누구나 한 번쯤 "요금 폭탄"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특히 AWS, GCP, Azure 등 대형 클라우드 플랫폼을 사용할수록 리소스 관리에 따라 비용 차이가 큽니다. 요즘 개발자들이 실제로 활용하는 클라우드 비용 절약 전략도 이 글에 녹여보도록 하겠습니다. 전략 1: 리소스 최적화가장 기본적이지만 효과적인 방법은 사용하지 않는 리소스를 즉시 중지하거나 삭제하는 것입니다. 개발자들은 종종 테스트용으로 인스턴스를 만들고, 종료하지 않은 채 방치하는 실수를 저지릅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리소스는 비용이 계속 청구됩니다:EC2, Compute Engine, VM 인스턴스디스크 볼륨(EBS, Persistent Disk 등)로드 밸런서, 퍼블릭 IP미사용 데이터베이.. 2025. 10. 29.
개발 입문자를 위한 VPS vs 전용서버 차이 완전 정리 개발을 처음 시작한 입문자에게 서버 선택은 어렵고 낯선 과정입니다. 용어도 생소하고, 가격도 천차만별이라 어디서부터 알아봐야 할지 막막합니다. 특히 VPS(가상 사설 서버)와 전용서버는 혼동하기 쉬운 개념이지만, 실제 운영 환경에서 매우 큰 차이를 보입니다. 처음엔 그냥 가장 저렴한 것으로 시작하고 싶은 마음이 커서 그렇게 선택해버리면 나중에 마이그레이션 하느라 고생하게 될 수도 있습니다. 입문자를 위한 VPS 개념VPS는 Virtual Private Server의 약자로, 하나의 물리 서버를 여러 개의 가상 서버로 분할하여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쉽게 말해, 한 건물(물리서버)에 여러 세입자(VPS)가 사는 형태입니다. 각 VPS는 독립적인 운영체제와 자원을 할당받아 실행되기 때문에, 다른 VPS와.. 2025. 10. 29.
AWS vs GCP vs Azure 클라우드 서비스 완벽 비교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는 세 가지 플랫폼은 바로 AWS, Google Cloud Platform(GCP), Microsoft Azure입니다. 이 세 서비스는 각기 다른 장점과 특화된 기능을 가지고 있어, 기업이나 개발자들이 목적에 따라 선택할 수 있습니다. AWS, GCP, Azure의 주요 기능, 비용 구조, 장단점을 종합적으로 비교하여, 현명한 클라우드 선택을 도와드리겠습니다. 기능 비교: AWS, GCP, Azure의 핵심 서비스AWS는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의 선두주자로, 가장 많은 글로벌 데이터센터와 가장 다양한 서비스 범위를 제공합니다. EC2, S3, Lambda, RDS 등 이미 널리 알려진 서비스 외에도, 머신러닝, IoT, 빅데이터, 게임 개발 등을 위한 특화된 .. 2025. 10.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