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언어나 배포 스크립트 등을 직접 작성해서 작업을 진행했을땐 정말 번거롭죠. 코드를 수정하거나 Github에 푸쉬했을 때, 직접 서버에 접속하거나 파일을 업로드 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웹사이트가 새 버전으로 갱신되면 업무의 효율이 굉장히 올라갑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노코드 기반의 설정을 통해 비개발자도 쉽게 CI/CD 파이프라인을 구성할 수 있도록 도와드릴게요!
GitHub Actions란 무엇인가?
GitHub Actions는 GitHub에서 제공하는 CI/CD(지속적 통합 및 지속적 배포) 플랫폼입니다. GitHub 저장소 내에서 코드 변경 시 자동으로 빌드, 테스트, 배포까지 이어지는 과정을 설정할 수 있어 개발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강력한 기능입니다. 이 서비스는 워크플로우(Workflow)라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github/workflows 폴더에 YAML 파일을 작성하여 자동화 시나리오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코드가 push 되었을 때 특정 테스트를 실행하거나, 특정 브랜치에 merge 되었을 때 자동 배포가 일어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노코드 방식으로도 접근이 가능합니다. GitHub Actions Marketplace에는 수많은 사전 제작된 액션(Action)들이 제공되고 있어, 복잡한 스크립트를 작성하지 않아도 원하는 자동화 흐름을 쉽게 구성할 수 있습니다. 특히 정적 웹사이트, 블로그, 포트폴리오 페이지 등을 자동 배포하고 싶은 사용자에게 매우 유용합니다. 또한, GitHub Actions는 무료 플랜에서도 일정량의 실행 시간을 제공하기 때문에 소규모 프로젝트나 개인 프로젝트에 매우 적합합니다. 설정과 운영 모두 GitHub 플랫폼 내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외부 서버나 추가 서비스 없이도 충분히 배포 자동화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노코드로 자동 배포 설정하기
노코드로 GitHub Actions를 설정한다는 것은, 코드를 거의 작성하지 않고도 자동화된 배포 환경을 구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방식은 특히 비개발자나 자동화에 익숙하지 않은 초보자에게 매우 유리하며, 다음과 같은 단계를 통해 구현할 수 있습니다. 1. 워크플로우 생성: GitHub 저장소에서 Actions 탭을 클릭하면 다양한 자동화 템플릿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정적 사이트 배포를 위한 Deploy to GitHub Pages 같은 워크플로우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2. Marketplace 활용: GitHub Actions Marketplace에는 수많은 공개된 액션들이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actions/checkout, peaceiris/actions-gh-pages 등은 대표적인 배포 관련 액션입니다. 이들을 복사하여 간단한 설정만 하면 자동 배포 흐름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3. 환경 변수 입력: GitHub의 Settings > Secrets 메뉴에서 TOKEN, ACCESS_KEY, REPO_NAME 등 필요한 정보를 안전하게 입력합니다. 이런 환경변수를 활용하면 코드 노출 없이도 자동화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4. 자동 배포 흐름 테스트: 한 번 설정이 끝나면 저장소에 코드를 push 해보세요. Actions 탭에서 배포 흐름이 자동으로 실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노코드 방식은 복잡한 CI/CD 파이프라인보다 간편하며, 학습 곡선도 낮기 때문에 빠르게 적용해볼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기술적 진입장벽 없이 자동화 배포를 시도해보고 싶은 사용자에게 이상적인 선택입니다.
활용 사례 및 실전 팁
실제로 GitHub Actions를 활용해 자동 배포를 하고 있는 사례는 매우 다양합니다. 대표적으로는 정적 사이트 생성기인 Jekyll, Hugo, Gatsby 등을 사용하는 개인 블로거, 포트폴리오 사이트를 운영하는 프리랜서 개발자, 소규모 스타트업 등이 있습니다.
활용 팁 몇 가지를 소개해드리도록 할게요.
- 기본 템플릿 활용: 처음부터 복잡한 YAML 파일을 만들기보다는 GitHub에서 제공하는 기본 워크플로우 템플릿을 선택해 출발하는 것이 좋습니다.
- 배포 브랜치 분리: main이나 master와는 별도로 gh-pages 브랜치를 생성하여 배포 전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자동 테스트 추가: 배포 전 npm test나 yarn test를 추가해 기본적인 테스트를 수행한 후 배포하는 방식으로 워크플로우를 설계하면 안정성이 향상됩니다.
- 알림 설정: Slack, Discord, Email 등으로 배포 결과를 통보받을 수 있도록 액션을 연결해두면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합니다. 또한 실시간으로 실행 로그를 확인할 수 있는 UI가 제공되기 때문에 문제 발생 시 빠르게 디버깅이 가능하며, 이전 실행 기록을 확인하며 개선할 수 있습니다. 자동 배포에 익숙해지면, 코드 변경 → 테스트 → 배포의 전 과정을 손대지 않고도 실행할 수 있어 업무 효율이 극대화 됩니다.
GitHub Actions는 전문가들의 도구처럼 느껴졌지만 이젠 노코드 방식으로도 자동 배포 환경을 구축할 수 있어서 누구나 쉽게DevOps 문화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혹시 아직 자동화 배포를 도입하지 않았다면, GitHub Actions을 꼭 활용해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