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떠한 클라우드 서비스가 가장 좋은지 고민없이 결정하고 선택하고 싶은 마음은 누구나 똑같을 것 입니다. 사실 스펙시트만 봐서는 모두 훌륭한 클라우드 서비스 입니다. 그리고 클라우드 서비스를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한 기준은 속도, 가격, 안정성되겠죠. 공식 스펙으로만 봐서는 실제 성능을 비교하기 어려워 어떠한 클라우드 플랫폼이 최적의 선택이 될 지 한번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속도 비교 - 응답 속도, 네트워크 처리 능력
클라우드 속도는 사용자 경험과 직결됩니다. 특히 웹 서비스나 API 서버 운영한다면 응답 속도 몇 밀리초 차이도 체감이 확실히 다릅니다. 2025년 최신 벤치마크 데이터를 바탕으로 성능 비교표를 작성해 보았습니다.
| 서비스 | 평균 응답 속도(ms) | IOPS 성능 (SSD 기준) | 네트워크 대역폭 |
|---|---|---|---|
| GCP | 130ms | 75,000 IOPS | 최대 32Gbps |
| AWS | 130ms | 64,000+ IOPS | 최대 25Gbps |
| Azure | 145ms | 60,000 IOPS | 최대 30Gbps |
속도 기준으로 비교한다면 AWS와 GCP가 비슷한 수준이고 Azure는 조금 느린 편 입니다. 처리 속도는 실시간 데이터 처리가 필요한 서비스나 게임 서버나 라이브 스트리밍 또는 대용량의 데이터 베이스 쿼리가 잦은 경우가 중요하죠.
가격 비교 - 시간당 비용과 무료 혜택
동일한 스펙(2vCPU, 8GB RAM, SSD 포함) 기준의 시간당 비용을 비교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서비스 | 시간당 요금(USD) | 월 예상 요금(약 730시간) | 무료 티어 |
|---|---|---|---|
| Azure | $0.067~0.073 | 약 $49~53 | 750시간/월 (12개월) |
| GCP | $0.065~0.071 | 약 $47~52 | $ 300크레딧(90일), f1-micro 무료 |
| AWS | $0.069~0.077 | 약 $50~56 | 750시간/월 (12개월) |
가격 기준에서는 Azure > GCP > AWS 순으로 저렴합니다.
가격은 GCP가 종합적으로 가장 경쟁력 있습니다. 특히 지속 사용 할인이 자동으로 적용되고, 초 단위 요금제를 제공해서 실제 사용한 만큼만 내면 됩니다. Azure는 Microsoft 제품을 이미 사용 중이라면 통합 할인 혜택이 있고, AWS는 다양한 할인 옵션(Reserved Instances, Savings Plans)을 제공합니다. 스타트업이나 개인 프로젝트라면 무료 티어부터 활용해 실제 사용량을 모니터링하면서 스펙을 조정하는 게 중요해요.
최근 벤치마크에서는 AWS가 네트워크 처리량과 디스크 쓰기 속도에서 우위를 보였고, GCP는 대규모 데이터 처리와 AI/ML 워크로드에서 강점을 보입니다. 특히 GCP는 구글의 글로벌 네트워크 인프라를 활용하기 때문에 데이터 분석 작업에서 뛰어난 성능을 발휘합니다.
안정성 비교 - SLA, 가용성, 서비스 중단 빈도
공식 SLA와 실측 중단 기록을 통해 안정성을 비교해 볼게요.
| 서비스 | SLA(월 가용성) | 2024년 장애 기록(공개 기준) | 리전 수 |
|---|---|---|---|
| AWS | 99.99% | 4건 (짧은 장애, 빠른 복구) | 33개 |
| GCP | 99.95% | 2건 (긴 장애, 지역 영향) | 40+개 |
| Azure | 99.9% | 6건 (다양한 서비스 영향) | 60+개 |
안정성에서는 AWS가 가장 신뢰가 갑니다. 장애가 발생해도 복구 속도가 빠르고 영향 범위도 제한적이에요. GCP는 장애 횟수는 적지만 한 번 생기면 영향이 컸고, Azure는 리전 수는 가장 많지만 상대적으로 장애 빈도가 있는 편입니다. 다만 2025년 들어 모든 플랫폼이 안정성을 크게 개선했습니다.
따라서, 안정성 기준에서는 AWS > GCP > Azure 순으로 평가됩니다.
속도, 가격, 안정성 세 가지 기준에서 클라우드 TOP 3 서비스를 비교해보면 목적에 따라 어떤 서비스를 선택해야 할 지 조금은 명확하게 정할 수 있습니다.
- 고성능/속도를 원한다면 Google Cloud
- 비용 절감을 우선한다면 Azure
- 안정성과 범용성을 원한다면 AWS
또한, 처음 시작한다면 세 곳 모두 무료티어를 제공하기 때문에 직접 써보는 것이 가장 좋을 것이라 생각합니다.